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대회 진행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주요 정보유치 과정 · 경기 종목 · 대회 진행 · 대한민국 대표팀
대회 관련 기타 문서
마스코트
반다비 ·
주경기장
평창 올림픽 스타디움 ·
올림픽
2018 평창 동계올림픽 ·
개회 선언자
문재인 ·
성화 점화자
서순석 · 김은정
파일: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로고_White.svg하나된 열정
Passion. Connected.
||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메달 결과
[ 펼치기 · 접기 ]

순위국가합계
1파일:미국 국기.svg USA1315836
2파일:패럴림픽기.svg NPA810624
3파일:캐나다 국기.svg CAN841628
4파일:프랑스 국기.svg FRA78520
5파일:독일 국기.svg GER78419
6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UKR77822
7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SVK64111
8파일:벨라루스 국기.svg BLR44412
9파일:일본 국기.svg JPN34310
10파일:네덜란드 국기.svg NED3317
11파일:스위스 국기.svg SUI3003
12파일:이탈리아 국기.svg ITA2215
13파일:영국 국기.svg GBR1427
14파일:노르웨이 국기.svg NOR1348
15파일:호주 국기.svg AUS1034
16파일:핀란드 국기.svg FIN1023
16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1023
16파일:뉴질랜드 국기.svg NZL1023
19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CRO1012
20파일:중국 국기.svg CHN1001
20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KAZ1001
22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AUT0257
23파일:스페인 국기.svg ESP0112
24파일:스웨덴 국기.svg SWE0101
25파일:벨기에 국기.svg BEL0011
25파일:폴란드 국기.svg POL0011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메달 결과
합계순위
102316위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메달리스트
[ 펼치기 · 접기 ]

선수종목메달획득일
신의현크로스 컨트리남자 15km 좌식3월 11일(2일차)
남자 7.5km 좌식3월 17일(8일차)
대표팀파라 아이스하키



1. 개요
2. 범례
3. 개회식 (3월 9일)
4. 1일차 (3월 10일)
5. 2일차 (3월 11일)
6. 3일차 (3월 12일)
7. 4일차 (3월 13일)
8. 5일차 (3월 14일)
9. 6일차 (3월 15일)
10. 7일차 (3월 16일)
11. 8일차 (3월 17일)
12. 9일차 (3월 18일)


1. 개요[편집]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대회 일정별 대한민국 선수단의 경기결과 및 메달 매치 결과를 기재한 문서. 예외로 구기 종목의 결승전 경기결과는 이 문서에 추가로 적혀 있다.


2. 범례[편집]


MEDAL - 금메달경기
MEDAL - 동메달경기
[경기중] - 경기중인 경기
파일:패럴림픽기.svg [[NPA - 패럴림픽 중립 선수단(러시아)


3. 개회식 (3월 9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6.2번 문단을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1일차 (3월 10일)[편집]


3월 10일 대한민국 경기 결과경기시간순
종목경기결과
바이애슬론여자 6km 좌식이도연 12위
남자 7.5km 좌식신의현 5위
이정민 11위
남자 7.5km 입식권상현 14위
남자 7.5km 시각장애최보규 14위
알파인 스키남자 활강 좌식한상민 12위
이치원 16위
휠체어 컬링예선 세션 1미국 3 : 7 대한민국
예선 세션 2대한민국 6 : 5 NPA
아이스하키예선 B조대한민국 4 : 1 일본


대한민국 이도연 출전

경기 결과기록
금메달파일:미국 국기.svg켄달 크렛쉬21:52.0
은메달파일:미국 국기.svg오사나 마스터스22:14.8
동메달파일:벨라루스 국기.svg리지야 흐라페야바22:16.3
12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도연26:11.3

대한민국 이정민, 신의현 출전

경기 결과기록
금메달파일:미국 국기.svg다니엘 크노센23:49.7
은메달파일:벨라루스 국기.svg드미트리히 로란23:57.0
동메달파일:캐나다 국기.svg콜린 캐머런23:59.0
5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의현24:19.9
11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정민26:02.5
본래 금메달 유력후보 종목으로 꼽혔다. 금메달 유력 후보였던 신의현이 중반까지 선두권을 지켰으나 역전을 허용, 5위라는 다소 아쉬운 성적을 남겨, 내일 본래 주종목 이었던 크로스컨트리 15km에서 메달 재도전 하게됐다.


대한민국 한상민, 이치원 출전

경기 결과기록
금메달파일:미국 국기.svg앤드류 쿠르카1:24.11
은메달파일:일본 국기.svg타이키 모리1:25.75
동메달파일:뉴질랜드 국기.svg코리 피터스1:26.01
12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한상민1:30.61
16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치원1:31.78


대한민국 권상현 출전

경기 결과기록
금메달파일:프랑스 국기.svg벤자민 다비에17:56.6
은메달파일:캐나다 국기.svg마크 아렌드18:25.9
동메달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이호르 레프티유크18:40.9
14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권상현22:14.3

대한민국 최보규(가이드 러너: 김현우) 출전

경기 결과기록
금메달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비탈리 루키야넨코19:51.0
은메달파일:벨라루스 국기.svg유리 홀룹20:05.1
동메달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아나톨리 코발레프스키20:30.1
14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보규25:19.2


경기 결과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 : 7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예선 세션 1 시트 C, 3월 10일 14:35, 강릉 컬링 센터
12345678T
파일:미국 국기.svg0001002X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0110410X7

대한민국 대표팀이 1엔드는 블랭크 엔드로 마쳤고, 4엔드까지 1점씩을 주고받다가 5엔드에 대량 4득점에 성공하며 승기가 기울었다. 7엔드에 2실점하긴 했지만 8엔드에서 대한민국이 더블테이크아웃을 성공하고 미국이 4점을 낼 수 없게 되자 미국이 기권하며 첫 경기를 승리해 산뜻하게 출발하였다.


경기 결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4 : 1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예선 B조, 3월 10일 15:30, 관동 하키 센터
123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0134
파일:일본 국기.svg0011
득점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장동신(21:08), 정승환(30:51), 조영재(35:56),
이해만(40:31)
파일:일본 국기.svg다카하시 가즈히로(42:53)

대한민국 소속 조인 B조는 미국(2위), 대한민국(3위), 체코(9위), 일본(10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경기부터 한일전이 진행된다. 현재 대한민국은 캐나다, 미국에 이어 세계랭킹 3위로 메달권이라고 볼 수 있고, 일본은 현재 세계랭킹 10위로 조에서는 제일 순위가 낮다.

2피리어드 초반까지는 유효슈팅 수는 훨씬 많으나 좀처럼 골이 들어가지 않으며 정확도가 떨어졌는데, 2피리어드에서 장동신의 중거리슛을 필두로 3피리어드에서는 컨디션을 완벽히 회복해 3득점으로 세계랭킹 3위다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막판에 일본 하키팀 득점왕 가즈히로에게 1실점했지만 별 의미 없었고, 첫 경기를 말끔히 승리하였다. 이로써 평창 올림픽/패럴림픽 아이스하키 첫 승을 거두었다. 1피리어드 마치고 쉬는시간 말미에 동요 '곰세마리'가 나와 관중들이 따라부르는건 뜻밖의 재미


경기 결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6 : 5 NPA 파일:패럴림픽기.svg

예선 세션 2 시트 B, 3월 10일 19:35, 강릉 컬링 센터
123456789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1010200116
파일:패럴림픽기.svg0201011005

연장 끝의 혈투, 그리고 값진 2승

6엔드까지는 두 팀이 후공에 1~2점씩 득점하는 걸 반복하며 접전 양상을 보였다. 그러다 7엔드 한국의 후공에서 2연속 실투가 나오며 1점을 스틸당하고 말았고, 8엔드를 4:5로 뒤진 채 후공을 잡게 되었다. NPA의 스톤이 많아진 상황에서 작전 타임을 가졌는데, 여기서 상대 스톤을 쳐내고 가운데 미세하게 1번 스톤을 차지하는 데 성공하였다. 그 뒤에 NPA의 실투까지 나오며 2점을 가져가 경기를 끝낼 기회를 잡았지만 상대 스톤을 맞고 튕겨나오며 1점을 획득, 연장 9엔드에 선공을 잡고 돌입하였다. 전체적으로 불리한 상황이었으나 대한민국이 1번 스톤인 상황에서 NPA의 실투로 스틸에 성공하며 결국 6:5로 역전승했다. 이로써 대한민국 대표팀은 2연승을 달리게 되었다.


5. 2일차 (3월 11일)[편집]


폐회식을 제외한 일요일 경기인데다가 대한민국 선수들이 대단한 선전을 했던 날[2]인데가 패럴림픽에 처음으로 출전한 북한대표 선수들이 출전한 날[3]임에도 불구하고, 지상파 방송사 및 케이블 스포츠채널 단 한곳에서도 생중계하지 않았고, 그 흔한 뉴스에서도 언급된 비중이 아주 적었다.[4] 평소 패럴림픽 중계방송 시간이 새벽에 방영되는 하이라이트가 전부이거나 지나치게 적다는 시청자들의 불만은 패럴림픽 시작전부터 곳곳에서 나왔지만 이날 방송사에서 보여준 행태는 비록 장애인이어도 똑같이 대한민국 대표선수로 뛰는 사람들인데 중계방송 편성 비중까지 차별대우가 너무 심하다는 여론이 폭발한 날 이기도 하다.[5]
3월 11일 대한민국 경기 결과경기시간순
종목경기결과
알파인스키여자 슈퍼대회전 시각장애양재림 9위
남자 슈퍼대회전 좌식한상민 15위
이치원 18위
크로스컨트리남자 15km 좌식신의현 동메달
이정민 10위
여자 12km 좌식이도연 13위
서보라미 12위
휠체어 컬링예선 세션 4슬로바키아 5 : 7 대한민국
아이스하키예선대한민국 3 : 2 체코, 준결승 진출


대한민국 양재림(가이드 러너: 고운소리) 출전

경기 결과기록
금메달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헨리에타 파르카소바1:30.17
은메달파일:영국 국기.svg밀리에 나이트1:33.76
동메달파일:영국 국기.svg멘나 피츠패트릭1:34.96
9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양재림1:43.03

대한민국 한상민, 이치원 출전

경기 결과기록
금메달파일:캐나다 국기.svg커트 오트와이1:25.83
은메달파일:미국 국기.svg앤드류 구르카1:26.89
동메달파일:프랑스 국기.svg프레데릭 프랑수아1:26.98
15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한상민1:30.90
18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치원1:33.35

경기 영상신의현 동메달 수여 장면
대한민국 이정민, 신의현 출전
경기 결과기록
금메달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막심 야로비41.37.0
은메달파일:미국 국기.svg다니엘 크노센42.20.7
동메달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의현42.28.9
10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정민44:06.1

한국의 대회 첫 메달이자 첫 동메달

이번 경기에는 북한의 김정현과 마유철이 각각 1, 2번으로 출전했다. 이정민은 20번, 신의현은 28번으로 출전하였다. 신의현이 동메달을 획득하면서 패럴림픽 한국인 최초 크로스컨트리 종목 첫 메달리스트가 나왔다.

한편 북한의 마유철과 김정현이 각각 26, 27위로 뒤에서 3,4위를 기록하였다.


대한민국 이도연, 서보라미 출전

경기 결과기록
금메달파일:미국 국기.svg켄달 그렛쉬38:15.9
은메달파일:독일 국기.svg안드레 에스카38:48.3
동메달파일:미국 국기.svg옥사나 마스터스39:04.9
12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서보라미45:27.5
13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도연45:49.6


경기 결과 :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5 : 7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예선 세션 4 시트 D, 3월 11일 14:35, 강릉 컬링 센터
12345678T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20200100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030100127

1엔드 선공에서 2실점을 했지만 2엔드 후공에서 3득점에 성공하며 다시 리드를 가져왔고, 그 뒤에는 2실점, 1득점하며 4:4로 균형을 맞추었다. 5엔드는 블랭크 엔드가 되며 8엔드를 선공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그 후 6, 7엔드에서 1실점, 1득점으로 8엔드를 맞았다. 2개의 대한민국 스톤이 맨 위, 1개의 상대 스톤이 맨 아래 1번 스톤으로 역삼각형꼴 상황에서 타임아웃을 불렀고, 일단 위쪽에 1번 스톤을 만들어 놓았다. 그런데 여기서 슬로바키아의 실투로 오히려 대한민국의 스톤 하나를 약간 어시스트해 버렸다. 그리고 대한민국은 계속 가드를 쌓기 시작해 슬로바키아를 압박했고, 슬로바키아가 마지막 스톤을 던지기 직전에는 거의 완벽하게 막혀버렸다. 슬로바키아도 길을 찾으려 노력했지만 실패로 돌아갔고, 무려 2점을 스틸하며 어제 NPA전 때와 같은 스틸승을 거두었다. 이렇게 파죽의 3연승에 성공하였다.


경기 결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3 : 2 체코 파일:체코 국기.svg

예선, 3월 11일 15:30, 관동 하키 센터
123OT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01113
파일:체코 국기.svg00202
득점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주승(18:28), 정승환(42:53, 45:13)
파일:체코 국기.svg미할 게이에르(38:55, 44:21)
Oh my goodness!!!!!!!!!Can you believe it!!!!!!!!!
It happened, that's quick
Jung Seung hwan!!!!The korean KING!!!!![6]

2피리어드 초반까지는 치열한 공방전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유효슈팅 수는 대한민국이 더 많았다. 그러다 장종호의 선제골이 터졌고, 점점 컨디션을 회복해가며 2피리어드를 종료했다. 3피리어드 초반에서는 서로 유효슈팅을 주고받다가 중반에 가서는 체코에게 동점골을 허용하고 말았다. 그리고 3피리어드 후반에 정승환이 다시 도망가는 골을 터뜨렸지만, 후에 대한민국이 페널티를 받아 체코의 파워플레이가 된 상황에서 체코가 이를 놓치지 않고 결국 종료 1분도 채 남기지 않고 다시 동점골을 허용하고 말았다. 이렇게 경기는 연장전에 들어갔는데, 연장전에 들어가자마자 13초 만에 정승환이 골든골로 자신의 3번째 골을 만들어 내며 진땀승을 거두게 되었다. 이렇게 대한민국은 까다로운 세계 2위 미국전 전에 준결승을 미리 확정짓게 되어 다음 미국전에서는 마음 편하게 경기할 수 있게 되었다.


6. 3일차 (3월 12일)[편집]


3월 12일 대한민국 경기 결과경기시간순
종목경기결과
휠체어 컬링예선 세션 6대한민국 7 : 5 캐나다
예선 세션 8대한민국 3 : 4 독일
크로스 컨트리 스키남자 20km 입식권상현 12위
스노보드남자
크로스
상지장애예선박항승 22위, 탈락
박수혁 21위, 탈락
무릎 아래
하지장애
예선최석민 19위, 탈락
김윤호 16위, 16강전 진출
16강전김윤호 패 : 나리타 구리무


경기 결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7 : 5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예선 세션 6 시트 A, 3월 12일 09:35, 강릉 컬링 센터
12345678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3001030X7
파일:캐나다 국기.svg0010202X5
1엔드에서 3점을 따내며 기선제압에 성공하였고, 캐나다가 2엔드에서 블랭크 엔드를 만들어 버리면서 운 좋게 8엔드 후공을 가져오게 되었다. 5엔드에 캐나다도 힘을 내며 동점까지 따라왔지만 6엔드에 다시 3점을 득점하면서 도망갔다. 8엔드 후공에서 2번의 더블테이크아웃을 성공시키며 캐나다의 전의를 상실시켰고, 결국 기권하며 파죽의 4연승에 성공했다.


대한민국 권상현 출전

경기 결과기록
금메달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이호르 레프티유크44:52.4
은메달파일:프랑스 국기.svg벤자민 다비에트46:48.9
동메달파일:노르웨이 국기.svg호콘 올스러드47:10.6
12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권상현53:21.6


대한민국 박항승, 박수혁 출전

경기 결과기록
21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수혁1:42.5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항승DSQ

대한민국 박항승, 박수혁 출전

경기 결과기록결과
21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수혁1:22.68탈락
22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항승1:50.74탈락

대한민국 최석민, 김윤호 출전

경기 결과기록
16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석민1:19.07
18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윤호1:24.20

대한민국 최석민, 김윤호 출전

경기 결과기록결과
16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윤호1:17.8216강전 진출
19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석민1:29.26탈락


경기 결과기록결과
1조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윤호2위준결승 진출 실패

경기 중 게이트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3번이나 됐다. 3번째로 작동이 안 되자 수리로 지연이 무려 1시간이나 됐고 결국 해결이 안 되자 고무줄을 이용해 수동으로 하는 방식으로 경기가 재개됐다. 한편 경기를 중계해주던 KBS1에서는 경기가 1시간 넘게 지연에 대한민국 선수 중 유일하게 16강에 진출했던 김윤호가 탈락하자 끝까지 방송하지 않고 중계를 끊었다.


경기 결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3 : 4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예선 세션 8 시트 D, 3월 12일 19:35, 강릉 컬링 센터
12345678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000020013
파일:독일 국기.svg101100104
4엔드까지는 블랭크 엔드인 2엔드를 제외하고는 스틸도 당하고 모두 1점씩 실점하며 0:3으로 벌어졌고, 5엔드에 2점을 득점에 추격했지만 6엔드에서 다시 블랭크 엔드를 만들었지만 7엔드에서 1실점해 점수는 2:4가 되었다. 대한민국 대표팀도 어떻게든 2점이라도 내려고 노력했지만 결국 1득점으로 끝나며 4연승 후 첫 패배를 기록하게 되었다.

4엔드에서 스톤의 나사가 풀려서 헛도는 바람에 스톤 활성화가 안되는 사고가 있었다. 예상치 못한 장비문제로 경기가 2분 정도 지연되었다.


7. 4일차 (3월 13일)[편집]


3월 13일 대한민국 경기 결과경기시간순
종목경기결과
알파인 스키여자 슈퍼복합 시각장애 대회전양재림 DNF
남자 슈퍼복합 좌식 대회전한상민 12위
이치원 16위
여자 슈퍼복합 시각장애 회전양재림 종합 DNF
남자 슈퍼복합 좌식 회전한상민 종합 11위
이치원 종합 DNF
휠체어 컬링예선 세션 9핀란드 3 : 11 대한민국
예선 세션 11스위스 5 : 6 대한민국
바이애슬론여자 10km 좌식이도연 11위
남자 12.5km 좌식이정민 9위
신의현 5위
남자 12.5km 입식권상현 12위
남자 12.5km 시각장애최보규 13위
아이스하키예선미국 8 : 0 대한민국


대한민국 양재림(가이드 러너: 고운소리) 출전

경기 결과기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양재림DNF

대한민국 한상민, 이치원 출전

경기 결과기록
12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한상민1:29.48
16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치원1:32.20

양재림이 경로 이탈로 실격되면서 슈퍼복합에 나가지 못하게 되었다.


경기 결과 :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3 : 11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KBS2 LIVE

예선 세션 9 시트 A, 3월 13일 09:35, 강릉 컬링 센터
12345678T
파일:핀란드 국기.svg0011010X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4000403X11

대한민국 대표팀이 1엔드부터 무려 4득점을 성공시키며 기선제압을 확실히 했고, 간간히 스틸도 당하기는 했지만 5엔드에서 다시 4점, 7엔드에도 3점을 득점하며 존재감을 과시했고, 결국 7엔드가 끝나고 핀란드가 기권하며 5승째를 올리게 되었다. 이렇게 현재 중국과 5승 1패로 공동 1위에 올랐다.


대한민국 이도연 출전

경기 결과기록
금메달파일:독일 국기.svg안드레아 에스카우42:36.6
은메달파일:패럴림픽기.svg마르타 자눌리나43:52.1
동메달파일:패럴림픽기.svg이리나 굴리아에바44:25.5
11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도연54:07.4

대한민국 이정민, 신의현 출전

경기 결과기록
금메달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타라스 라드45:35.6
은메달파일:미국 국기.svg다니엘 크노센46:37.3
동메달파일:미국 국기.svg앤드류 소울47:08.7
5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의현50:01.9
9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정민51:51.5


경기 결과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8 : 0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BC LIVE

예선, 3월 13일 12:00, 강릉 하키 센터
123T
파일:미국 국기.svg602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0000
득점자
파일:미국 국기.svg브로디 로이발(4:51, 40:07), 데클란 파머(6:40, 12:27, 13:37),
조슈아 미시비츠(8:09, 9:57), 트래비스 도슨(33:3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세계 2위의 벽은 생각보다 높았다. 대한민국 대표팀은 1피리어드에서만 무려 6실점을 하였고, 2피리어드에서는 무실점으로 분전했으나 3피리어드에서 2실점을 하며 8:0으로 대패했다. 이렇게 대한민국의 준결승 상대는 세계 1위 캐나다로 정해졌는데, 문제는 캐나다가 3경기 35득점 무실점으로 미국보다 더 엄청난 저력을 발휘하고 있어 전망이 밝지는 않다.


대한민국 권상현 출전

경기 결과기록
금메달파일:프랑스 국기.svg벤자민 다비에트35:25.3
은메달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이호르 레프티유크35:31.8
동메달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마크 아렌드35:54.7
12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권상현44:42.2

대한민국 최보규(가이드 러너: 김현우) 출전

경기 결과기록
금메달파일:벨라루스 국기.svg유리 홀룹39:23.7
은메달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올렉산드르 카지크39:26.1
동메달파일:캐나다 국기.svg유리 우트킨40:19.4
13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보규53:20.8



경기 결과대회전회전합계 기록
금메달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헨리에타 파르카소바1:29.8457.882:27.72
은메달파일:영국 국기.svg멘나 피츠패트릭1:31.4957.512:29.00
동메달파일:호주 국기.svg멜리사 페린느1:35.5055.322:30.8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양재림DNFDNF

대한민국 한상민, 이치원 출전

경기 결과대회전회전합계 기록
금메달파일:네덜란드 국기.svg예론 캄프슈레어1:25.5546.042:11.59
은메달파일:프랑스 국기.svg프레데릭 프랑수아1:25.0847.832:12.91
동메달파일:노르웨이 국기.svg예스퍼 페데르센1:24.7249.022:13.74
11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한상민1:29.4854.242:23.7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치원1:32.20DNFDNF


경기 결과 :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5 : 6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예선 세션 11 시트 C, 3월 13일 19:35, 강릉 컬링 센터
12345678T
파일:스위스 국기.svg0101101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201003006

대한민국 대표팀이 1엔드에서 2점을 득점하였고, 3엔드에서 1점을 득점해 1:3으로 차이를 벌렸으나 스위스의 추격으로 5엔드까지 3:3 동점이 되었다. 그러다 6엔드 3득점으로 차이는 더블스코어가 되었고, 7엔드에서 스위스가 1점을 득점한 뒤 대한민국 대표팀이 4:6으로 앞선 채로 8엔드 후공을 맞게 되었다. 8엔드에서는 2실점하지만 않으면 되니 일단 1개의 상대 스톤은 내버려 두고 방어를 철저히 하는 방식으로 작전을 펼쳤다. 스위스도 끈질기게 노력했으나 막판 더블테이크아웃 성공으로 대한민국 쪽으로 승기가 기울었다. 스위스는 드로우로 1, 2번 스톤을 만들었고. 대한민국은 저 스톤 중 1개 정도만 쳐내는 것을 시도했는데, 좀 아슬아슬하게 맞았지만 1개의 스톤을 쳐내는 대 성공하였고, 단 1점만 허용하며 5:6으로 승리하였다. 이렇게 1패 뒤 다시 2연승을 달리게 되었다. 현재 6승 1패로 중국과 함께 공동 1위이다.


8. 5일차 (3월 14일)[편집]


3월 14일 대한민국 경기 결과경기시간순
종목경기결과
알파인 스키여자 대회전 시각장애런 1양재림 9위
런 2양재림 종합 9위
남자 대회전 시각장애런 1황민규 14위
런 2황민규 종합 13위
남자 대회전 좌식런 1한상민 10위
이치원 20위
런 2한상민 종합 11위
이치원 종합 DNF
크로스 컨트리남자 1.1km 스프린트 좌식예선신의현 8위, 준결승 진출
여자 1.1km 스프린트 좌식예선이도연 18위, 탈락
서보라미 19위, 탈락
남자 1.5km 스프린트 시각장애예선최보규 19위, 탈락
남자 1.1km 스프린트 좌식준결승신의현 2위, 결승 진출
결승신의현 종합 6위
휠체어 컬링예선 세션 13대한민국 2 : 9 노르웨이
예선 세션 14대한민국 4 : 2 스웨덴


대한민국 양재림(가이드 러너 : 고운소리) 출전
경기 결과기록
9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양재림1:20:81

대한민국 황민규(가이드 러너 : 유재형) 출전
경기 결과기록
14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황민규1:21:23

대한민국 한상민, 이치원 출전
경기 결과기록
10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한상민1:10.73
20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치원1:14.21


대한민국 신의현 출전
경기 결과기록결과
8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의현3:11.33준결승 진출

대한민국 이도연, 서보라미 출전
경기 결과기록결과
18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도연4:13.92탈락
19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서보라미4:17.35탈락

대한민국 최보규(가이드 러너: 김현우) 출전
경기 결과기록결과
19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보규4:33.13탈락


대한민국 신의현 출전
경기 결과기록결과
1조2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의현3:45.8결승 진출

대한민국 신의현 출전
경기 결과기록
금메달파일:미국 국기.svg앤드류 소울3:31.4
은메달파일:벨라루스 국기.svg드미트리 로반3:31.4
동메달파일:미국 국기.svg다니엘 크노센3:31.8
4위파일:캐나다 국기.svg콜린 카메론3:32.1
5위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타라스 라드3:36.3
6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의현3:38.7

이 경기는 1, 2위가 0.1초까지 같은 접전이었지만, 사진 판독에 의해서 최종 순위가 갈렸다.


대한민국 양재림(가이드 러너 : 고운소리) 출전
경기 결과런 1런 2합계 기록
금메달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헨리에타 파르카소바1:10.831:12.172:23.00
은메달파일:영국 국기.svg멘나 피츠패트릭1:14.451:13.892:28.34
동메달파일:호주 국기.svg멜리사 페린1:14.951:13.862:28.81
9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양재림1:20.811:17.612:38.42

대한민국 황민규(가이드 러너 : 유재형) 출전
경기 결과런 1런 2합계 기록
금메달파일:이탈리아 국기.svg지아코모 베르타그놀리1:05.121:05.392:10.51
은메달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야쿱 크라코1:08.491:07.102:15.59
동메달파일:캐나다 국기.svg맥 마르쿠스1:09.441:08.072:17.51
13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황민규1:21.231:15.852:37.08

대한민국 한상민, 이치원 출전
경기 결과런 1런 2합계 기록
금메달파일:노르웨이 국기.svg예스퍼 페데르센1:07.481:05.972:13.45
은메달파일:미국 국기.svg타일러 워커1:06.301:07.492:13.79
동메달파일:폴란드 국기.svg이고르 시코르스키1:08.691:07.212:15.90
11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한상민1:10.731:10.582:21.3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치원1:14.21DNFDNF


경기 결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 : 9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예선 세션 13 시트 B, 3월 14일 14:35, 강릉 컬링 센터
12345678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020000XX2
파일:노르웨이 국기.svg200214XX9
1엔드 노르웨이에게 2실점했지만 2엔드 다시 2득점하며 균형을 맞췄다. 3엔드는 블랭크 엔드였고 4엔드는 노르웨이가 2점을 획득했다. 5엔드 대한민국의 후공에서 노르웨이가 3개의 스톤이 하우스에 있던 상황에서 대한민국의 스톤이 1번 스톤이 되지 못하며 1실점했고, 6엔드에서 대한민국의 샷 난조와 노르웨이의 철저한 방어로 대거 4실점하며 6엔드에서 경기를 포기했다. 이렇게 현재 전적 6승 2패가 되었다.


경기 결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4 : 2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예선 세션 14 시트 C, 3월 14일 19:35, 강릉 컬링 센터
12345678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1101001X4
파일:스웨덴 국기.svg0010100X2
대한민국은 1엔드 선공으로 시작했지만 스웨덴이 실투를 연발하며 2엔드까지 2연속으로 1점을 스틸했다. 그리고 3엔드에서 1점을 주고 4엔드 후공을 가져왔는데, 약간 실수가 나오며 1득점에 그쳤다. 그 와중에 스웨덴 스톤이 맨 아래쪽에 걸친 2개의 대한민국 스톤 사이로 무려 2번이나 지나가는 모습은 백미. 두 팀의 컨디션 상태 차이치고는 점수 차가 그렇게 많이 나지 않고 있다. 5엔드에 1실점 이후 6엔드를 블랭크 엔드로 만들며 7엔드에 다득점을 할 계획을 세웠으나 7엔드에서도 1점밖에 내지 못했다. 5엔드부터는 스웨덴의 컨디션이 살아나며 접전이 벌어졌는데, 스웨덴 8엔드에서 2실점 미만으로 막으려는 대한민국 대표팀을 상대로 하우스에 3개의 스톤을 집어넣으며 위기가 찾아왔다. 그러자 차재관의 기막힌 샷으로 트리플 테이크아웃을 성공시키며[8] 다시 대한민국 쪽으로 분위기가 넘어왔다. 스웨덴이 2개의 스톤이 남아 있는 상황에서 대한민국의 스톤을 테이크아웃시켰지만 자신의 스톤도 나가버리며 대한민국 대표팀은 아까 걸친 스웨덴의 3번 스톤만 빼내면 승리하는 상황이 왔다. 차재관은 손쉽게 스톤을 내보내며 대한민국이 7승째를 올리게 되었다. 현재 전적 7승 2패로 준결승 진출은 거의 확실시되었다.


9. 6일차 (3월 15일)[편집]


3월 15일 대한민국 경기 결과경기시간순
종목경기결과
휠체어 컬링예선 세션 15영국 4 : 5 대한민국, 준결승 진출
예선 세션 16중국 6 : 7 대한민국 (예선 1위)
아이스하키준결승대한민국 0 : 7 캐나다

경기 결과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4 : 5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예선 세션 15 시트 D, 3월 15일 09:35, 강릉 컬링 센터
12345678T
파일:영국 국기.svg10021000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020001115
1엔드에서부터 차재관의 마지막 샷이 빗맞으며 1점 스틸을 당했지만 2엔드에서 2득점하며 역전했다. 3엔드는 블랭크 엔드였고 영국이 4엔드에서 좋은 샷으로 2점을 가져갔고, 5엔드에서는 좁은 틈 사이로 빠져나가며 영국의 스톤이 한가운데에 위치했고, 가드도 완벽하게 되어 있던 상태였는지라 대한민국은 마지막 샷을 포기하고 그대로 1점을 스틸당했다. 6엔드에서는 양 팀의 스톤이 치고 빠지고를 반복하다 대한민국이 1득점했고, 7엔드에서 차재관의 좋은 샷으로 1~3번 스톤이 대한민국의 것이 되었고, 마지막 영국의 스톤이 가드에 맞고 2, 3번 스톤을 제쳤지만 1번은 제치지 못하면서 1점을 스틸했다. 8엔드에서는 정승원의 아무도 쓰지 못한 화면상 오른쪽으로 드로우하는 작전을 선택했는데, 많이 굽어 들어와야 했지만 기적적으로 영국의 1번 스톤보다 조금 더 앞서게 되며 성공했다. 마지막 영국이 런백을 이용한 테이크아웃을 시도했지만 실패하며 2연속 스틸을 해내며 8승을 달성, 준결승 진출이 확정되었다.


경기 결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0 : 7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준결승, 3월 15일 12:00, 관동 하키 센터
123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0000
파일:캐나다 국기.svg4127
득점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리암 히키 (04:17), 돔 코졸리노 (06:00), 그렉 웨스트레이크 (13:25)
, 빌리 브릿지 (14:19, 18:42) 타일러 맥그리거(35:48, 42:41)

캐나다를 상대로 참패당하며 은메달 확보에 실패했다. 캐나다는 원래 아이스하키 종목에서는 세계 최강이었고, 파라 아이스하키에서도 압도적인 수준이었다. 실제로 캐나다는 예선에서 17-0, 10-0, 8-0 으로 넘사벽의 실력으로 전승을 기록한 걸 보면, 한국이 못했다기 보다는 그냥 캐나다가 너무 잘한 것이다.[9][10]


경기 결과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6 : 7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예선 세션 15 시트 D, 3월 15일 14:35, 강릉 컬링 센터
12345678T
파일:중국 국기.svg01040010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201012017
1엔드에서 대한민국이 2점을 획득했고, 2엔드에서는 1실점했다. 3엔드에서는 중국의 스톤이 맨 아래에 조금 걸쳐 있고, 대한민국의 스톤은 맨 위에 조금 걸쳐 있었는데, 육안으로는 판별이 어려워 컴퍼스 정밀측정까지 들어간 결과 불과 1~2mm 정도 차이로 대한민국이 1점을 획득했다. 이렇게 1:3으로 대한민국이 앞서 있었지만, 4엔드에서 대한민국의 실투로 무려 4실점을 하고 말았고, 5:3으로 단숨에 역전당했다. 5엔드에서는 대한민국이 1득점했고, 6엔드에서 대한민국의 좋은 샷으로 1, 2번 스톤을 만들었고, 중국의 스톤이 들어오던 중 위에 있던 대한민국의 2번 스톤에 맞고 보다 위에 위치하면서 2번을 지켰다. 마지막 중국의 스톤도 약하게 들어오며 2점 스틸에 성공하였고, 5:6으로 재역전하였다. 7엔드에서 대한민국이 1, 2번 스톤을 만들었지만 중국이 쳐내며 중국이 1번이 되었고, 2실점 위기에 놓였으나 중국의 마지막 스톤이 또 약하게 들어오며 1실점으로 막았다. 이렇게 8엔드 6:6 동점 상황에서 후공을 잡게 되었다. 대한민국이 방민자의 중국의 스톤을 약간 스쳐나가는 절묘한 드로우와 서순석의 완벽하진 않았으나 가운데 중국의 스톤을 쳐내고 드로우도 성공해 1~4번 스톤이 되었고, 중국의 공격을 거친 이후에도 1, 2번은 살아 있었다. 차재관이 의도치는 않았지만 좋은 위치에 가드를 놓았고, 중국이 오른쪽으로 멀리 돌아오는 샷을 선택했는데, 그 결과 들어오긴 했으나 한국의 스톤에 약간 미치지 못하게 되며 중국마저 꺾고 예선 1위로 준결승에 진출하게 되었다.

한국은 이 경기에 이기면서, 9승 2패를 기록했다. 동률인 캐나다를 예선에서 이겼고, 중국의 남은 한경기와 무관하게 승자승 규칙에 의해서 예선 1위를 확정했다. 중국도 남은 1경기를 이기며 한국, 캐나다, 중국이 모두 9승 2패 동률이 되었지만, 승자승 규칙에 의해서 한국 1위, 캐나다 2위, 중국 3위가 되었다. 준결승에서 만나는 상대는 같은 시간 연장전에서 스틸에 성공하며 슬로바키아를 이겨서 예선 4위를 확정해버린 노르웨이 팀이다.[11] 다만, 한국은 예선에서 노르웨이에게 2:9 로 대패했었다. 복수의 시간이 다가왔다

이쪽 역시 미국이 예상대로 이탈리아를 10:1로 손쉽게 이겨서 대한민국의 3,4위전 상대는 이탈리아로 결정되었고, 결승은 하키계의 영원한 앙숙 미국:캐나다가 올림픽 여자 하키에 이어 붙게 되었다. 지금까지 예선전으로 보아 결승이나 3,4위전이나 두팀 전력이 비슷해 보여서 꿀잼 경기가 예상된다.


10. 7일차 (3월 16일)[편집]


3월 16일 대한민국 경기 결과경기시간순
종목경기결과
바이애슬론여자 12.5km 좌식이도연 11위
남자 15km 좌식이정민 7위
신의현 5위
남자 15km 입식권상현 9위
남자 15km 시각장애최보규 12위
스노보드회전남자
상지장애
예선 런 1박항승 16위
박수혁 18위
예선 런 2박항승 12위
박수혁 19위
런 3박항승 종합 12위
박수혁 종합 22위
남자
무릎 아래
하지장애
예선 런 1최석민 18위
김윤호 DNF
예선 런 2최석민 16위
김윤호 DNS
런 3최석민 종합 18위
김윤호 종합 DNS
휠체어 컬링준결승 시트 C대한민국 6 : 8 노르웨이



대한민국 이도연 출전
경기 결과기록
금메달파일:독일 국기.svg안드레아 에스카우49:41.2
은메달파일:미국 국기.svg옥사나 마스터스50:00.0
동메달파일:벨라루스 국기.svg리지야 흐라페야바50.57.0
11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도연1:02:27.3

대한민국 이정민, 신의현 출전
경기 결과기록
금메달파일:독일 국기.svg마르틴 플레이그49:57.2
은메달파일:미국 국기.svg다니엘 크노센50:42.7
동메달파일:캐나다 국기.svg콜린 카메론50:59.1
5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의현52:20.7
7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정민54:07.1


대한민국 박항승, 박수혁 출전
16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항승1:02.55
18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수혁1:04.97

대한민국 최석민, 김윤호 출전
18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석민1:20.0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윤호DNF

대한민국 박항승, 박수혁 출전
12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항승57.88
19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수혁1:03.80

대한민국 최석민, 김윤호 출전
16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석민1:27.9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윤호DNS

김윤호는 부상 악화로 기권했다.

대한민국 박항승, 박수혁 출전
경기 결과런 1런 2런 3최고 기록
금메달파일:미국 국기.svg마이크 마이너53.2953.9250.7750.77
은메달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패트릭 메이호퍼57.3051.9651.3651.36
동메달파일:호주 국기.svg사이몬 패트모어54.1152.7851.9951.99
12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항승1:02.5557.8857.0757.07
22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박수혁1:04.971:03.801:03.891:03.80

일정이 1시간 가량 지연되어 시작하였다.

대한민국 최석민, 김윤호 출전
경기 결과런 1런 2런 3최고 기록
금메달파일:일본 국기.svg나리타 구리무[13]50.1749.6148.6848.68
은메달파일:미국 국기.svg에반 스트롱51.0350.0549.2049.20
동메달파일:핀란드 국기.svg마티 수르 하마리51.0551.6449.5149.51
18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석민1:20.021:27.991:25.201:20.0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김윤호DNFDNSDNSDNS


대한민국 권상현 출전
금메달파일:캐나다 국기.svg마크 아렌드42:52.2
은메달파일:프랑스 국기.svg벤자민 다비에트43:50.5
동메달파일:노르웨이 국기.svg닐스 에릭 울셋44:06.7
9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권상현50:49.7

대한민국 최보규(가이드 러너: 김현우) 출전
금메달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비탈리 루키야넨코45:12.9
은메달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올렉산드르 카지크45:36.5
동메달파일:프랑스 국기.svg안토니 샬렝콩46:32.8
12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보규55:59.8


경기 결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6 : 8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준결승 시트 C, 3월 16일 15:35, 강릉 컬링 센터
123456789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0202000206
파일:노르웨이 국기.svg1030002028
1엔드에 선공을 잡고 1실점했지만 2엔드에서 2점을 획득하며 역전했다. 3엔드에서는 차재관의 스톤이 그냥 지나가버리며 더블테이크아웃을 실패해 버리고 3실점하며 2:4로 재역전되었다. 3엔드 종료 직후 차재관을 빼고 후보 이동하를 넣는 강수를 두면서[14] 4엔드에서 2득점을 하여 동점을 만들었고, 5, 6엔드에서 노르웨이가 2연속으로 블랭크 엔드를 만들고 7엔드에서 대한민국의 실투가 나오며 4:6으로 다시 달아났다. 8엔드에서 2점을 뒤진 채로 후공을 잡게 되었는데 노르웨이가 실수를 연발하기 시작하며 대한민국이 극적으로 2점을 획득해 연장전에 접어들게 된다. 그렇게 9엔드에 선공을 잡고 접어들었는데 여기서 얼음 냉방 작업으로 얼음 상태가 조금 달라졌는데, 그 때문에 대한민국은 리드 방민자의 스톤이 1개가 호그라인에 미치지 못했고, 세컨드 이동하의 스톤은 2개 모두 호그라인을 넘어서지 못하는 등 양 팀 모두 실투가 상당히 많이 나왔다. 노르웨이의 스톤이 하우스 밖으로 지나가버리는가 하면, 그러다 스톤 1개를 남기고 노르웨이가 좋은 샷으로 1번이 되었고, 마지막 스톤을 남겨두고 서순석은 버튼 한가운데로 드로샷을 노렸으나 그만 T라인 뒤로 넘어가버리며 결국 노르웨이의 승리로 끝이 나고 말았다. 동메달결정전에서 대한민국은 중국에게 4:3으로 패한 캐나다를 상대하게 된다. 캐나다는 예선에서 한번 승리했었다. 여담으로 예선 1,2위가 준결승에서 떨어져 동메달결정전에서 맞붙게 되었고, 3,4위가 결승전에서 맞붙게 된 상황이 되었다.


11. 8일차 (3월 17일)[편집]


3월 17일 대한민국 경기 결과경기시간순
종목경기결과
휠체어 컬링동메달결정전대한민국 3 : 5 캐나다, 종합 4위
알파인
스키
남자 회전
시각장애
런 1황민규 10위
런 2황민규 종합 DNF
남자 회전
좌식
런 1한상민 DNF
이치원 DNF
런 2한상민 종합 DNF
이치원 종합 DNF
크로스 컨트리 스키남자 10km 클래식 시각장애최보규 15위
남자 10km 클래식 입식권상현 19위
남자 7.5km 좌식이정민 8위
신의현 금메달
여자 5km 좌식이도연 15위
서보라미 18위
아이스하키동메달결정전대한민국 1 : 0 이탈리아, 동메달


대한민국 황민규(가이드 러너: 유재형) 출전
10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황민규55.92

대한민국 한상민, 이치원 출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한상민DN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치원DNF


경기 결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3 : 5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동메달결정전 시트 B, 3월 17일 09:35, 강릉 컬링 센터
12345678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0010101X3
파일:캐나다 국기.svg2002010X5


대한민국 최보규(가이드 러너: 김현우) 출전
금메달파일:캐나다 국기.svg브라이언 매키버23:17.8
은메달파일:미국 국기.svg제이크 아디코프24:31.3
동메달파일:벨라루스 국기.svg유리 홀룹24:37.1
15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최보규30:06.4

대한민국 권상현 출전
금메달파일:일본 국기.svg니타 요시히로24:06.8
은메달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보빈치 그리고리24:15.5
동메달파일:캐나다 국기.svg마크 아렌드24:27.1
19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권상현28:49.1


경기 결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 : 0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동메달결정전, 3월 17일 12:00, 강릉 하키 센터
123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001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0000
득점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장동신(41:4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That full paralympic winter medal of all time
The KOREANS are DRAMA-KING[15]
평창 동계패럴림픽의 모든 경기 중에서 가장 감동적인 경기

1피리어드에서는 골이 들어가지는 않았으나 유효슈팅 수는 6:2로 전체적으로 대한민국 대표팀이 분위기를 리드하는 상황이었다. 2피리어드 초반까지만 해도 대한민국이 유효슈팅 2개를 더 추가하며 이탈리아를 압박했으나, 중반에 대한민국의 12번 김영성 선수가 페널티를 받아 이탈리아의 파워플레이가 진행되었는데 이때부터 갑자기 이탈리아가 살아나기 시작하며 3번 로사 선수를 필두로 상당히 공격적인 플레이가 진행되었다. 유효슈팅 수도 대한민국을 따라가기 시작하며 32번 골리 이재웅의 슈퍼세이브 때와 같이 위험한 슛이 나오기 시작했다. 2피리어드에서도 골은 없었으나 상황이 매우 힘들어졌다. 3피리어드에서는 유효슈팅 수가 4:4로 상당히 치열한 공방전이 이루어졌고, 서로 위험한 상황이 많이 연출되었다. 이렇게 연장전으로 가나 싶었으나 3피리어드 종료 3분 18초를 남기고 정승환의 완벽한 어시스트와 장동신의 골로 극적으로 대한민국이 1점을 만들어냈다. 이탈리아 측이 비디오 판독을 요청했지만[16] 결국 대한민국의 골로 인정이 되었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이탈리아는 골리를 제외하고 전원이 공격에 참여하며 맹공을 퍼부었고, 마지막 2분에서는 정말 필사적인 수비가 많이 벌어졌다. 10초가 남은 상황에서 대한민국 관중들은 카운트다운을 세기 시작했고, 마지막까지 골을 허용하지 않으며 대한민국의 1:0 승리로 동메달이 확정되었다. 대한민국의 평창 패럴림픽 3번째 메달이 되었다. 대한민국의 올림픽/패럴림픽 사상 아이스하키 첫 메달이 확정되는 순간이었다.

경기가 끝나고 아이스하키 대표팀이 대한민국 관중들의 응원에 대해 보답하기 위해 태극기를 중앙에 놓고 관중들과 함께 애국가를 부르는 것이 백미. 영상 그리고 관중석을 향해 반다비인형을 던져주었다. 이날 관중석에서 국민들과 함께 응원했던 문재인 대통령 부부는 직접 내려와 선수들과 코치들을 격려했다.

그리고 이 대회를 끝으로 18년간 대표팀에서 활약한 주장 한민수는 은퇴 후 지도자의 길을 걷는다고 밝혔다.

경기 영상신의현 금메달 수여 장면
대한민국 이정민, 신의현 출전
경기 결과기록
금메달파일:대한민국 국기.svg신의현22:28.4
은메달파일:미국 국기.svg다니엘 크노센22:33.7
동메달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막심 야로비22:39.9
8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정민23:37.3
신의현, 26년 만에 대한민국 동계 패럴림픽 사상 첫 금메달을 획득하다!

대한민국의 이정민은 앞쪽에서 출발하였고, 신의현은 맨 마지막 바로 앞인 33번째로 출발하였다. 뒤로 갈수록 메달 유력 후보인 선수가 배치되어 있다. 신의현은 처음 0.7km에서는 2.2초 차이로 2위였지만, 이내 3.25km에서는 4.5초 차이로 1위를 차지하였다. 나중에서 잠깐 2.9초 차이로 떨어진 적이 있었지만 순위는 뒤바뀌지 않았고, 마지막 결승선에서도 미국의 다니엘 크로센 선수를 5.3초 차이로 제치며 22분 28초 4의 기록으로 1위를 차지하였고, 다음에 들어온 선수들도 신의현을 넘지 못하며 대한민국의 2번째 메달이자 동계 패럴림픽 사상 대한민국 첫 금메달을 획득하게 되었다. 이정민도 안정감 있는 주행을 선보이며 23분 37초 3의 기록으로 8위로 결승선을 통과하였다. 신의현은 인터뷰에서 코치의 5초 차이가 난다는 말을 듣고 자신이 2위인 줄 알고 계속 따라붙기 위해 경기에 임했고, 결승선을 통과할 때도 선두인 줄 몰랐다고 한다. 이렇게 신의현은 그토록 갈망하던 금메달을 대한민국 대표팀에 선사하게 되었다. 신의현이 금메달을 획득했다는 소식이 장내 방송을 통해 아이스하키 경기장에도 알려지면서 큰 환호가 나오기도 했다.

대한민국 이도연, 서보라미 출전
경기 결과기록
금메달파일:미국 국기.svg옥사나 마스터스16.42.0
은메달파일:독일 국기.svg안드레아 에스카우16:53.5
동메달파일:패럴림픽기.svg마르타 자눌리나17:25.4
15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도연19:59.4
18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서보라미21:31.4


대한민국 황민규(가이드 러너: 유재형) 출전
경기 결과런 1런 2합계 기록
금메달파일:이탈리아 국기.svg지아코모 베르타그놀리48.8547.271:36.12
은메달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야쿱 크라코49.0748.471:37.54
동메달파일:패럴림픽기.svg발레리 레드코주보프49.1048.921:38.0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황민규55.92DNFDNF

대한민국 한상민, 이치원 출전
경기 결과런 1런 2합계 기록
금메달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디노 소콜로비치49.1350.691:39.82
은메달파일:미국 국기.svg타일러 워커49.0851.471:40.55
동메달파일:프랑스 국기.svg프레데릭 프랑수아51.5350.501:42.0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한상민DNFDN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이치원DNFDNF


경기 결과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6 : 5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금메달결정전 시트 B, 3월 17일 14:35, 강릉 컬링 센터
123456789T
파일:중국 국기.svg2001002016
파일:노르웨이 국기.svg0120010105

경기 결과
금메달파일:중국 국기.svg중국
은메달파일:노르웨이 국기.svg노르웨이
동메달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
4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

중국에게 첫 패럴림픽 메달을 선사한 경기


12. 9일차 (3월 18일)[편집]


3월 18일 대한민국 경기 결과경기시간순
종목경기결과
알파인 스키여자 회전
시각장애
런 1양재림 7위
런 2양재림 종합 7위
크로스 컨트리 스키4 x 2.5km 혼성 계주대한민국 11위
4 x 2.5km 오픈 계주대한민국 8위


대한민국 양재림 출전
경기 결과기록
7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양재림1:00.22


대한민국 서보라미, 이도연, 최보규(가이드 러너: 김현우) 출전
경기 결과기록
금메달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우크라이나24:31.9
은메달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25:21.9
동메달파일:독일 국기.svg독일25:25.3
11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30:10.2
계주는 원래 4명이 차례로 이어서 달려야 하지만, 선수가 부족할 경우는 한 선수가 2번 달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기에서는 최보규가 2번 주행했다.


대한민국 신의현, 이정민, 권상현 출전
경기 결과기록
금메달파일:프랑스 국기.svg프랑스22:46.6
은메달파일:노르웨이 국기.svg노르웨이23.09.1
동메달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23:53.4
8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24:55.7
본래 오픈 계주 종목에는 대한민국 선수단의 출전계획이 없었으나 선수들이 참가하고 싶다는 의향을 밝혀 국제패럴림픽위원회에 추가 참가 신청을 해 승인을 받았다. 이 경기도 혼성경기처럼 3명만 출전했으며, 권상현이 2번 주행하였다. 우크라이나가 메달권으로 들어왔으나 부정출발이 확인되어 페널티 타임이 부여됐다.


경기 결과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 : 1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123OTT
파일:미국 국기.svg00112
파일:캐나다 국기.svg10001
득점자
파일:미국 국기.svg데클란 파머(44:22, 48:30)
파일:캐나다 국기.svg빌리 브릿지(12:06)

경기 결과
금메달파일:미국 국기.svg미국
은메달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
동메달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

연장에 들어간 경기,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엔딩매치가 되다.
평창 올림픽에 이어 평창 패럴림픽에서도 금메달을 얻지 못한 비운의 캐나다 팀

3P 1분 21초를 남기고 0:1로 지던 미국이 결국 골리를 빼는 배수진 작전을 폈고, 이후 퍽을 캐나다에게 빼앗기며 결정적 위기를 맞았으나 캐나다의 암스트롱이 58초가 남은 상황에서 단독찬스를 맞아 (바로 수비수가 따라와서 약간 급하게) 텅빈 골대로 날린 퍽이 골대를 맞고 튕겨져 나왔고, 이 퍽을 따낸 미국이 결국 불과 38초를 남기고 데클린 파머가 동점을 만들어 연장전에 돌입했다. 연장전에서 파머가 골든골을 집어넣으면서 금메달마저 수확하며 캐나다의 금메달을 눈앞에서 날려버렸다. 이 결과로 캐나다는 평창 동계올림픽에 이어 동계 패럴림픽에서도 아이스하키에서 금메달을 얻지 못하는 결과가 나왔다. 그것도 여자 비장애인 하키에 이어 또 라이벌 미국에게 금메달을 양보해야 한 상황이 나와버렸다. 시상식에서도 이 분위기가 그대로 나왔다. 오래간만에 금메달을 획득한 미국팀, 올림픽과 패럴림픽을 통틀어 첫 메달을 획득한 대한민국 팀은 상품으로 받은 어사화 반다비를 메달과 같이 걸거나 보면서 환한표정을 짓는 등 싱글벙글한 분위기를 연출했던 반면 캐나다 팀은 메달을 받을 때도 억지로 받는듯한 모습이 느껴질 정도였고, 상품으로 부여받은 반다비를 받자마자 자리에 내려놓고, 시상식 후에도 축 처진채로 3위팀인 대한민국 선수들과 인사 후 바로 링크장을 떠나는 등 전반적으로 표정이 좋지 않았다. 물론 객석의 캐나다 응원단의 표정도 살벌했다.


대한민국 양재림 출전
경기 결과런 1런 2합계 기록
금메달파일:영국 국기.svg멘나 피츠패트릭54.2457.561:51.80
은메달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헨리에타 파르카소바53.5858.881:52.46
동메달파일:영국 국기.svg밀리에 나이트54.2859.111:53.39
7위파일:대한민국 국기.svg양재림1:00.221:02.412:02.63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에 출전한 대한민국 선수단의 마지막 경기.

파르카소바의 평창 5관왕을 틀어막는 멘나 피츠패트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6.3번 문단을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20:19:42에 나무위키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대회 진행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아이스 슬레지 하키라고도 하는데 요즘은 비장애인/장애인 구분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냥 둘다 아이스하키라고 한다.[2] 덤으로 이번대회 대한민국의 첫 메달이 나온 날이기도 했다.[3] 크로스컨트리 15km 경기에 출전하여 완주했다[4] 주요 선전을 했던 낮시간대에는 각종 드라마 재방송 편성이 잡혀있었다. 한국보다 더욱 더 시청률과 광고수익에 목숨을 거는 다른 나라 방송사들도 대회기간동안 최소 방송시간이 약 70여시간이다.[5] 특히 지상파 채널을 2개나 가지고 있는 KBS는 '이런식으로 할거면 수신료 받지 말라'는 비난을 받았다.[6] 이상 정승환이 골든골을 성공시키자 OBS 중계석에서 나온 탄성의 말[7] 4시부터 중계[8] 1개의 스톤이 남아 있긴 했지만 대한민국의 2개에 밀린 3번이었다.[9] 캐나다나 미국은 동계올림픽/패럴림픽 하키에서 세계 1,2위를 다투는 국가다. 특히나 캐나다는 금메달을 못따면 선수들을 죄인취급하거나 하키연맹 간부가 청문회에 불려나갈 정도로 하키 초강대국이다. 지난 평창 올림픽에서 캐나다팀이 금메달 획득에 실패했을때 난리난걸 생각해보라. 이런 초 강대국에 맞선 대한민국은 이 두나라에게 최소 실점한 국가다. 이 날 경기가 끝나고 캐나다 선수들은 인터뷰에서 '한국 선수들의 기량이 갈수록 향상되고 있다'는 찬사를 보내기도 했다.[10] 비록 캐나다에게 졌지만 이 날 관중들 대부분은 자리를 뜨지 않고 '괜찮다'고 선수들을 응원했고, 직관이 아닌 인터넷으로 경기를 본 국민들은 아무도 선수들을 비난하지 않았다. 그리고 영부인 김정숙 여사가 직접 경기장에서 선수들을 응원했다.[11] 만약 연장에서 슬로바키아가 제대로 고춧가루를 뿌렸다면 최소 3팀 이상이 물고 물리면서 타이 브레이커가 열리게 되는데 이 게임을 잡으면서 타이 브레이크 없이 바로 4위가 확정되었다.[12] 4강팀이 바로 확정된 관계로 취소됨[13] 여담으로 누나가 하프파이프 스노보드 올림픽 국가대표 출신인 스노보더이자 AV 여배우인 이마이 메로다.[14] 당일날 선수의 컨디션이 나쁘다고 하더라도 보통 경기 중반부까지는 지켜보는 편이고, 차재관이 그동안 포스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주었다는 걸 감안하면 상당히 이른 교체였다. 교체된 이동하가 세컨드를 맡았고, 투구 순서는 세컨드였던 스킵 서순석이 포스를 맡았다.[15] 경기가 끝나고 OBS중계진이 한 말. 중계진들도 목청껏 외치느라 경기가 종료된 시점에선 목소리가 쉬었다.[16] 규정상 스틱이 아닌 신체나 슬레지에 맞고 들어간 경우 의도성이 전혀 없이 퍽이 와서 맞고 들어갔을 때만 골로 인정되는데, 상대팀 입장에선 충분히 의문을 가질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즉, 만약 그때 약간이라도 밀어넣는 동작을 취했다면 골이 취소될 수도 있었지만, 느린화면으로 본 결과 장동신은 그냥 1자로 똑바로 지나가고 있었고, 그와중에 퍽이 와서 날에 맞고 들어간 것이라 굿골이 되었다.